검색엔진 등록

이번에 블로그를 설치형으로 옮기면서 외부에서 거의 찾아올 수 없는 구조가 되어버렸다. 가입형 블로그인 Tistory는 다음의 검색엔진에 바로 노출되어서 따로 등록을 하지 않아도 바로 외부에 노출이 되는 것과는 다른 구조이다.

그렇게 고립된 블로그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방법은 노출시키고 싶은 검색엔진에 등록을 하는 것이다.

검색엔진마다 설정을 해줘야 하며, 한국에서는 최상위권 검색엔진인 Google과 네이버를 등록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글에서는 설명을 위해 Google, Bing, 네이버, 다음 순서로 등록을 진행했다.

목차
[1] Google
[2] Bing
[3] 네이버
[4] 다음

[ 1 ] Google

구글은 Google Search Console을 사용하고, 로그인이 필요하다.
https://www.google.com/webmasters/tools/siteoverview?hl=ko

로그인 후 시작하기를 누른다.

도메인 전체를 등록해보겠다. 서브도메인을 제외하고 입력한 후 계속을 누른다.

DNS 레코드로 도메인을 소유했는지 확인한다. DNS 레코드는 도메인을 구입한 곳이나 따로 연결한 사이트에서 진행한다. 나는 도메인을 Cloudflare에 연결했기 때문에 Cloudflare에서 레코드를 적용했다.

레코드를 추가하고 형식은 TXT, 이름은 도메인, 위에서 복사한 TXT 레코드를 내용에 붙여넣고 저장을 누른다.

다시 구글로 돌아와서 확인을 누른다. 레코드가 알맞게 적용되면 소유권이 확인된다.

완료되었다. 대시보드는 며칠이 지난 후에 뜰 것이다.

[ 2 ] Bing

빙은 Webmaster Tools를 사용하고, 로그인이 필요하다.
https://www.bing.com/webmasters/about?mkt=ko-kr

로그인 후 시작하기를 누른다.

앞서 적용한 구글의 설정을 가져올 수 있다. 구글에 로그인이 필요하다.

구글에서 설정한 사이트를 선택하여 가져올 수 있다.

간단하게 완료되었다.

마찬가지로 대시보드는 며칠 후에 확인이 가능하다.

네이버는 Search Advisor를 사용하고, 로그인이 필요하다.
https://searchadvisor.naver.com/

로그인 후 웹마스터 도구로 들어간다.

사이트 등록에 자신의 도메인을 입력한다.

HTML 파일 업로드로 진행해보겠다. HTML 확인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FTP나 기타 방법을 통해서 사이트의 루트 디렉토리(index.html이 있는 장소)에 확인파일을 넣는다. 이후 3번의 링크를 통해 잘 나오는지 확인하면 된다. 오류가 아니라 텍스트가 출력되면 소유확인을 클릭한다.

사이트 목록에 내 주소가 추가되었다.

완료되었다.

[ 4 ] 다음

다음은 검색등록을 사용하고, 로그인이 필요없다.
https://register.search.daum.net/

다음은 로그인이 필요없다. 신규등록하기를 클릭한다.

블로그 등록을 누르고 URL을 입력한다.

로그인이 없기 때문에 있는 과정인 것 같다. 동의 후 확인을 누른다.

이메일을 입력하고 확인을 누른다.

등록신청이 완료되었다.

위와 같은 이메일이 온다. 따로 대시보드나 결과는 제공되지 않는다.

이렇게 모두 등록을 마쳤다. 각자 심사를 마치고 봇이 돌아다니기 시작하면 검색엔진에 블로그가 노출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