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20.04에 마인크래프트 베드락 서버를 설치하는 방법이다.
마인크래프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서버 파일의 주소를 얻어온다.
[ Bedrock 서버 다운로드 | Minecraft ]

폴더를 만들어주고, wget으로 서버를 다운로드 받는다.
mkdir bedrock_server cd bedrock_server wget https://minecraft.azureedge.net/bin–linux/bedrock–server–1.18.2.03.zip |
zip파일이니까 unzip해주고 설정 파일을 열고 설정을 해준다.
(설정은 하지 않아도 됨)
unzip bedrock–server–1.18.2.03.zip nano server.properties |
테스트로 실행해본다.
LD_LIBRARY_PATH=. ./bedrock_server NO LOG FILE! – [] setting up server logging… [2022–01–12 20:00:45:805 INFO] Starting Server [2022–01–12 20:00:45:805 INFO] Version 1.18.2.03 [2022–01–12 20:00:45:805 INFO] Session ID 177c1b3b–cf1c–4f15–aba1–2ee91de66a1d [2022–01–12 20:00:45:806 INFO] Level Name: [2022–01–12 20:00:45:807 INFO] Game mode: 0 Survival [2022–01–12 20:00:45:807 INFO] Difficulty: 1 EASY [2022–01–12 20:00:45:915 INFO] opening worlds [2022–01–12 20:00:47:211 INFO] IPv4 supported, port: 19132 [2022–01–12 20:00:47:211 INFO] IPv6 supported, port: 19133 [2022–01–12 20:00:48:026 INFO] Server started. [2022–01–12 20:00:48:057 INFO] IPv4 supported, port: 48250 [2022–01–12 20:00:48:057 INFO] IPv6 supported, port: 58643 |
대강 이런 식으로 실행된다.
서비스로 등록해서 관리하려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sudo nano /etc/systemd/system/minecraft.service [Unit] Description=Minecraft Bedrock Server After=network.target [Service] User=user Group=user Type=Simple WorkingDirectory=/home/user/bedrock_server ExecStart=/bin/sh –c “./bedrock_server” TimeoutStopSec=20 Restart=on–failure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
[Service]에 속하는 user들은 본인 것으로 전부 맞춰주어야 한다.
User=user
Group=user
WorkingDirectory=/home/user/bedrock_server
이후에
sudo systemctl enable minecraft.service
(자동 시작 등록)
sudo systemctl start minecraft.service
(시작)
해주면 된다.
이제 마인크래프트를 켜고 서버를 등록해주면 된다.


J1900 프로세서로 동작하는 저전력 PC가 있어서 돌려봤는데 적당히 돌아가는 것 같다. HDD는 맵 로딩이 아주 길어서 말 타고 뛰다 보면 맵이 로드되지 않은 허공을 달리고 있다. SSD 환경에서는 제대로 돌아간다.
물론 접속자 수가 많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참고
https://blog.wise-leader.com/minecraft_server_on_nas_001/
https://namu.wiki/w/server.properties#s-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