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오나스 사용기 – 배드섹터로 인한 HDD 교체

원래 이게 먼저였는데 깜빡하고 RAID먼저 적어버렸다… 여러 메뉴를 눌러보다가 S.M.A.R.T라는 메뉴를 보았다. 디스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해주는 기능인 것 같았는데 자세히 모르는 분야라서 켜지 않고 있었다. 그런데 장치 메뉴를 눌러보니… sdc디스크가 배드섹터가 존재한다고 한다. 배드섹터의 악몽은 잘 알고 있으니 HDD를 교체하기로 했다. 종료 후에 디스크를 교체했다.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타오나스의 4Bay 중 몇 번째가 sdc냐는 것이다. … Read more

타오나스 사용기 – RAID

RAID는 여러 개의 저장장치를 묶는 기술이다. 속도를 증가시키기도 하고, 용량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전용 컨트롤러로 묶는 하드웨어 RAID는 전용 RAID 카드를 사용한다. 보통 PCI-E슬롯에 채결해서 20 ~ 30개의 저장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하지만 타오나스에는 PCI-E슬롯이 없기 때문에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RAID를 이용해서 저장장치를 묶어야 한다. RAID라는 게 NAS에서 거의 필수적인 기능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OS에서 소프트웨어 RAID를 … Read more

타오나스 사용기 – 디스크 마운트

이제 본격적으로 NAS에 HDD를 넣고 마운트를 해보겠다. 먼저 3.5Bay에 HDD를 장착한다. 모두 채우지 못한 경우에 쿨링을 중시한다면 차례대로 넣는게 아니라 홀수번째에 넣거나 짝수번째에 넣거나 해서 빈 공간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다. HDD를 장착했으면 OMV 웹페이지로 이동한다. 장치를 누르면 만들어지지 않은 장치들의 리스트가 보인다. 원하는 장치를 선택한다. 레이블은 웬만하면 알기 쉽게 적는 것이 좋고 파일 시스템은 디스크가 … Read more

타오나스 사용기 – 소음과 절전

NAS라는 물건을 집에서 사용하는데 가장 중요한 건 성능이나 용량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문제는 내 등짝인데, 구석에 처박혀서 하루 종일 쉬지 않고 반짝반짝 빛을 내는 NAS는 내 등짝을 위협하기 때문이다. 등짝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핑계와 낮은 소음, 낮은 소비 전력이 필요하다. 적당한 핑계는 개인마다 다르므로 넘어가고 낮은 소음과 소비 전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먼저 타오나스에서 소음은 세 … Read more

타오나스 사용기 – flashmemory

OMV-Extras를 설치하면 다양한 플러그인을 설치할 수 있는데, 유용한 것을 소개하겠다. flashmemory 플러그인은 OMV를 설치한 저장장치가 HDD나 SSD가 아닌 많은 쓰기에 취약한 SD카드나 USB메모리일 때 설치하면 좋다. OMV는 가동되면서 로그가 계속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실시간으로 설치된 디스크에 저장한다. flashmemory는 이 작업을 OS가 설치된 디스크가 아닌 램에 진행하면서 쓰기 작업을 줄여준다. 일단 설명으로는 그런데… 정확히 어떻게 작동하는지는 … Read more

타오나스 사용기 – OMV-Extras

OMV는 플러그인으로 더 많은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기본적인 플러그인도 있지만 더 많은 플러그인을 사용하려면 OMV-Extras라는 플러그인을 설치해주어야 한다.https://omv-extras.org/ omv-extras.org 에 접속하면 위와 같이 루트 계정으로 명령어를 사용해 설치하라고 안내하고 있다. wget -O – https://github.com/OpenMediaVault-Plugin-Developers/packages/raw/master/install | bash PuTTY로 NAS에 접속한 후, root로 로그인하고 적으면 된다. 엔터를 누르면 설치가 진행되고 다시 커멘드를 기다리면 설치가 완료된 것이다. … Read more

타오나스 사용기 – PuTTY를 이용한 SSH 접속

NAS는 Server이고, Server는 컴퓨터이다. 즉 컴퓨터에도 Server를 구축할 수 있고, NAS를 구축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개념으로 OMV는 Debian Linux 기반이고 Debian 기반인 또 다른 OS에는 그 유명한 Ubuntu가 있다. Ubuntu Server는 Ubuntu LTS라는 이름으로 배포되고 있고, Server시장의 전통의 강자 RHEL(Red Hat Enterprise Linux)의 아성에 도전하고 있다. 나는 애초 목적이 학습용이 강했기 때문에 RHEL이나 Ubuntu Server로 … Read more

타오나스 사용기 – OMV 설치

NAS에 최적화된 OS도 종류가 꽤 많았다. 어차피 리눅스 기반이라 리눅스 서버를 설치해도 되었는데, 아무래도 타오나스의 성능이 좋지 못하니 NAS 전용으로 커스텀 된 OS를 찾아보았다. FreeNAS는 성능이 많이 필요하다고 해서 패스. 나중에 J5040등의 최신 프로세서나 고전력 세팅으로 가면 쓸 수 있을 것 같다.https://www.freenas.org/ OpenMediaVault가 무려 라즈베리파이에서도 돌아간다고 하니 딱 적임자로 보여서 설치하기로 했다.https://www.openmediavault.org/ 위의 링크에서 다운로드를 … Read more

타오나스 사용기 – 타오나스 도착, 테스트

며칠 전 드디어 나스가 도착했다. 해외배송은 엄청 빨랐는데 CJ대한통운에서 엄청 늦었다. 12월 24일 주문12월 24일 발송12월 27일 인천세관 도착01월 05일 통관완료01월 05일 CJ대한통운 상품인수01월 11일 배달완료 솔직히 관세청에서는 연말 연초 휴일이랑 겹쳐서 늦는 것 전부 이해했는데 CJ대한통운은… 다른 택배 다 잘만 오는데 얘네만 늦는 게 참 안 좋았다! 아무튼 우여곡절 끝에 타오나스를 받아보았다. 포장은 이 … Read more

타오나스 사용기 시작

네트워크 분야를 공부하면서 서버를 한 대 가지고 싶어 졌다. 배운 것을 실제 적용해보면 예습 복습이 될 것 같아서? 그래서 노트북에 리눅스를 설치하고 아파치를 올려봤다. 공유기에 DDNS도 설정하고 노트북 IP도 고정으로 잡아주고 DMZ를 설정해서 외부에서 접속하는 것도 성공했다. 하지만… 상시가동이 불가능했다. 아직은 현역인 노트북이었고 듀얼부팅으로 리눅스는 깔아놨지만 윈도우도 계속 다녀와야 했다. 이렇게는 안 되겠다 싶어서 포기했다.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