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ecraft Bedrock Server

Ubuntu 20.04에 마인크래프트 베드락 서버를 설치하는 방법이다. 마인크래프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서버 파일의 주소를 얻어온다.[ Bedrock 서버 다운로드 | Minecraft ] 폴더를 만들어주고, wget으로 서버를 다운로드 받는다. mkdir bedrock_server   cd bedrock_server   wget https://minecraft.azureedge.net/bin–linux/bedrock–server–1.18.2.03.zip zip파일이니까 unzip해주고 설정 파일을 열고 설정을 해준다.(설정은 하지 않아도 됨) unzip bedrock–server–1.18.2.03.zip   nano server.properties 테스트로 실행해본다. LD_LIBRARY_PATH=. ./bedrock_server   NO LOG FILE! – [] setting up server logging… [2022–01–12 20:00:45:805 INFO] Starting Server [2022–01–12 20:00:45:805 INFO] Version 1.18.2.03 [2022–01–12 20:00:45:805 INFO] Session ID 177c1b3b–cf1c–4f15–aba1–2ee91de66a1d [2022–01–12 20:00:45:806 INFO] Level Name:  [2022–01–12 20:00:45:807 INFO] Game mode: 0 Survival [2022–01–12 20:00:45:807 INFO] Difficulty: 1 EASY … Read more

2021년 긴 시간 블로그 접속 중단에 대해서…

2021년 중반을 넘어서 서버의 스토리지 교체가 있었다. 이유는 용량 증설로, 간이로 사용하던 하드를 제거하고 8배의 용량에 달하는 하드를 장착했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 보관용 공간의 레이드가 깨져서 데이터 손실이 발생했고, 새 하드가 절전이 잘 되지 않아서 문제가 생긴 것을 제외하고는 이상 없이 이주했다고 생각했는데 유독 워드프레스만이 DB를 찾지 못한다고 뻗어서 고쳐질 생각을 하지 않았다. 학교도 가야 … Read more

Sphinx & Read the Docs

드디어 찾았다. 리눅스에서 여러 서비스를 돌리면서,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배우면서 많이 참고했던 Document 페이지가 구조가 비슷해보였는데 역시나 제작 툴이 있었다. 내가 찾던 툴은 Sphinx였고 가장 좋아보였던 테마는 Read the Docs였다. 스핑크스를 간단히 소개하자면 파이썬 기반으로 제작된 문서화 도구이다. rst파일이나 마크다운 파일을 HTML과 같은 문서로 변환해주는 도구이다. 맨 위의 스크린샷이 제작 후 Read the Docs 테마를 적용시킨 … Read more

CodeIgniter

PHP를 배운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어쩌다가 코드이그나이터를 사용할 일이 생겨버렸다… CodeIgniter, 줄여서 CI, 버전을 붙여서 CI3 이런 식으로 부르는 것 같다. 현재 CI4까지 나온 것 같고 나는 CI3를 사용하게 되었다. 코드이그나이터는 PHP프레임워크로 MVC 모델을 적용하고 있다. 솔직히 Django를 잠깐 맛보기를 하면서 어느정도 보긴 했는데 직접 다뤄보기는 처음이라 엄청 많이 해맸다.익숙해지면 여러명이서 협업하기 좋은 구조같은데 처음 … Read more

Timezone 설정

PHP에서 여러가지 작업을 하다 보면 가끔 시간이 맞지 않은 상황을 발견한다. 그냥 기본값을 서버 시간에 맞추면 되는데 왜 그럴까 싶지만… 아무튼 코드를 추가해서 해결할 수 있다. 위의 코드를 date값을 찍기 전에 추가해주면 된다. 서버의 관리자라면 php.ini 파일을 수정하면 된다.(sudo nano /etc/php.ini) 수정 후에 웹 서비스를 재시작하면 적용된다.

ESXi Install Trouble Shooting History

소문으로만 듣던 ESXi를 설치해보려고 쇼를 했다. 얻은 것도 있지만 결과적으로 실패했기 때문에, 다른 밀린것들 앞에 얘부터 적고 넘어간다. 1. ignoreHeadless=TRUE Shutting down firmware services…Using ‘simple offset’ UEFI RTS mapping policyRelocating modules and starting up the kernel… 처음 부팅디스크를 넣고 설치가 진행되다 말고 저기에서 멈춰서 움직일 줄 모른다. 솔루션은 USB로 부팅되고 나서 약 5초 동안 입력을 … Read more

검색엔진 등록

이번에 블로그를 설치형으로 옮기면서 외부에서 거의 찾아올 수 없는 구조가 되어버렸다. 가입형 블로그인 Tistory는 다음의 검색엔진에 바로 노출되어서 따로 등록을 하지 않아도 바로 외부에 노출이 되는 것과는 다른 구조이다. 그렇게 고립된 블로그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방법은 노출시키고 싶은 검색엔진에 등록을 하는 것이다. 검색엔진마다 설정을 해줘야 하며, 한국에서는 최상위권 검색엔진인 Google과 네이버를 등록하는 것이 보통이다. … Read more

블로그 개장

어쩌다보니 홈페이지를 마구마구 만들게 되고, 어쩌다보니 블로그에 손이 가고, 모든 자료를 내가 보관할 수 있다는 매력이 크게 다가와서 최근부터 내내 생각해왔던 티스토리를 드디어 벗어나게 되었다. 사실 티스토리의 서비스에는 크게 만족하고 있었다. 내심 다음이 스러져가는 상황이 보이긴 했지만 티스토리는 탄탄해보였기 때문에 걱정도 없었다. 하지만 작년 언젠가부터 로그인을 할 때마다 카카오 계정으로 전환하라고 하더니, 이제 4월까지만 로그인이 … Read more

Cloudflare

과거에 많은 종류의 웹게임을 즐기던 시기가 있었다. 국내에서 서비스하는 웹게임도 있었지만 대부분 외국계 웹게임이 많았다. 웹게임에 대해서 말을 하자면 정말 길어지겠지만, 이번에는 외국계 웹게임을 하면서 많이 봤던 Cloudflare에 대해서 적어보고자 한다.https://www.cloudflare.com/ko-kr/ 웹게임에서 갑자기 웬 Cloudflare일까 싶지만 전 세계를 대상으로 서비스하기 쉽고, 일정 이하 응답속도를 가져야 하는  웹게임 특성상 전 세계에 서버를 둘 수 없으니 Cloudflare를 … Read more

타오나스 사용기 – 배드섹터로 인한 HDD 교체

원래 이게 먼저였는데 깜빡하고 RAID먼저 적어버렸다… 여러 메뉴를 눌러보다가 S.M.A.R.T라는 메뉴를 보았다. 디스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해주는 기능인 것 같았는데 자세히 모르는 분야라서 켜지 않고 있었다. 그런데 장치 메뉴를 눌러보니… sdc디스크가 배드섹터가 존재한다고 한다. 배드섹터의 악몽은 잘 알고 있으니 HDD를 교체하기로 했다. 종료 후에 디스크를 교체했다.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타오나스의 4Bay 중 몇 번째가 sdc냐는 것이다. … Read more